Wevity 왼쪽 배경 Wevity 오른쪽 배경 퀵메뉴
메일링 신청
메일링 서비스를 신청하시면 알찬 공모전,이벤트, 아이디어 정보를 이메일을 통해 전달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정책에 따라 이메일 주소를 안전하게 관리할 것입니다.
이메일
@

공모전/이벤트 보기

고객센터 wevity@gmail.com

공모전 대외활동 정보

행정안전부 협업 아이디어 공모전
조회수 : 1,843
행정안전부 협업 아이디어 공모전
  • 분야
  • 응모대상
  • 주최/주관 행정안전부
  • 후원/협찬
  • 접수기간 2018-05-01 ~ 2018-05-31 D+2,219
  • 총 상금 1천만원이하
  • 1등 상금 100만원
  • 홈페이지 http://idea.epeople.go.kr/idea/contView.do?ideaCd=180430-00004&ideaImproveSeq=0000000001
  • 첨부파일 파일없음
  •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 메일보내기 인쇄
상세내용
※ 본 내용은 참고 자료입니다. 반드시 주최사 홈페이지의 일정 및 상세 내용을 확인하세요.
행정안전부 협업 아이디어 공모전

행정안전부에서는 협업을 통해 국민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고 행정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협업아이디어」를 공모합니다. 여러분들의 멋진 아이디어를 기다립니다.

■ 응모내용
- 정부, 공공기관, 기업, 대학, 단체 등이 협업(상호간 기능연계, 시설공유, 행정정보 공동활용 등)함으로써,
 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② 국민이나 기업의 부담을 줄이거나 편의성을 높이거나,
 ③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 주십시오.

■ 기간과 응모방법 : 2018. 5. 1.(화) ~ 5. 31.(목) / 국민생각함 참여하기

PC나 스마트폰으로 국민생각함(idea.epeople.go.kr)에 접속하셔서  ‘협업 아이디어 공모’ 의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 협업방안을 입력합니다.(가능한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십시오.) 
※ 응모내용 분량에는 제한이 없지만, 입력할 수 있는 글자수는 띄어쓰기 포함 2,000자입니다. 
 - 그 이상의 분량으로 응모하실 때에는 파일로 첨부해 주십시오. 이미지 첨부도 가능합니다. 
 - 응모자는 참여자 정보란에 이름, 전화번호와 이메일을 입력해 주십시오.
 - 학생이 응모할 경우에는 응모자 이름 옆에 학교 이름도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 예 : 김협업(서울협업중학교), 정소통(한국협업대학교)

■ 시상내역
- 최우수상(1명) : 100만원
- 우수상(3명) : 50만원
- 장려상(6명) : 20만원
※ 우수한 아이디어는 관련 기관·부처와 협의하여 실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가 적극 노력할 예정입니다.

■ 선정 기준과 심사 일정
심사는 창의성, 실현가능성, 효과·확산성, 완성도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1차 내부 심사를 거쳐 전문가 심사와 국민생각함 투표를 종합하여 우수작을 선정합니다.
최종 우수작 선정 결과는 2018년 7월 초 국민생각함 홈페이지에 발표할 예정이며, 시상 일정은 개인에게 개별 통보합니다.   
※ 심사결과 일정 및 시상규모는 주최 측 사정과 응모작 수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유의사항 및 문의처
제안된 아이디어 중 본 공모전 이전에 정부가 주최하였던 다른 공모전에서 선정되었던 사실이 있거나, 이미 정부 정책에 반영된 아이디어는 우수작 선정에서 제외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행정안전부 협업정책과(02-2100-3438)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다양한 협업 사례를 참고하세요!!
《 정부 부처, 공공기관 등이 협업했습니다 》

▶ 고용복지+센터에서 일자리와 취업정보, 기초생활급여와 금융서비스 안내까지 한번에 받습니다.
 고용부·보건복지부·여성가족부 등 여러 부처 소속의 담당공무원이 한곳에서 상담서비스를 해줍니다.
 재취업 정보를 원하는 엄마는 고용복지+센터에 방문해서 남편에 대한 재활서비스와 아들·딸이 받을 수 있는 교육서비스 정보까지도 함께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 

▶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공공시설 이용 온라인 신청시 즉시 요금 감면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법정요금감면 대상자의 경우 공공시설(체육, 문화, 주차 등) 이용 온라인 신청 시 감면자격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방문신청을 하거나 사후에 환불받는 불편이 있었습니다.
 감면자격정보를 보유기관(보건복지부, 국가보훈처 등)과 시설운영기관 간 공유하여 온라인 신청 시 감면자격을 즉시 확인 후 감면요금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신체검사 없이도 자동차운전면허증을 즉시 발급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건강검진을 받았던 사람은 돈을 내고 시력·청력 검사를 받지 않아도 자동차운전면허증을 즉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관리공단과 교통안전관리공단·경찰청이 건강검진결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죠. 발급 신청자는 정보 공유에 대한 동의만 하면 됩니다.


《 정부와 민간기업, 시민단체 등이 협업했습니다 》
▶ 택시운송조합이 서울시 도로에 포트홀 지뢰를 신고합니다.
 도로의 지뢰 포트홀은 점점 늘어나고 운전자들은 불안합니다. 공무원들이 24시간 도로를 순찰하여야 할 상황입니다. 
 매일 서울 시내 도로를 달리는 택시와 버스의 운전자들이 지킴이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개인택시와 버스의 운송사업자조합과 서울시가 협업하여, 택시, 버스의 운전자들이 도로를 달리다가 포트홀을 발견하면 카드결제기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 알림 단말기를 터치하여 즉시 신고하도록 했습니다. 서울시의 신고시스템에 접수된 신고는 24시간 복구팀이 긴급 출동하여 즉시 복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모두의주차장 앱을 구청이 활용하여 주차공간을 확보했습니다.   
 송파구에서는 주차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거주자우선주차구획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모두컴퍼니”과 협업하여 주차장 공유사업을 전국 최초로 시작하였습니다.   
 거주자우선주차구획을 확보하고 있는 주민이 자신의 주차면이 비어있는 시간에 빈 공간을 다른 사람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에 등록하고, 주차장이 필요한 이용자는 앱을 통해 사용신청을 하고 신청시간 동안 사용 후 요금을 지불하면, 송파구청은 지불된 주차장 사용요금(시간 당 1200원) 중 30%를 공유자에게 분배하여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현재, 송파구 외에도 광진구, 강동구, 동대문구 등으로 확대되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 보이스피싱 범죄자 정보를 공유하여 금융사기를 예방합니다.
 금융감독원은 경찰청과 협업하여 보이스피싱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피상사기범 전화 목소리를 공개하는 ‘보이스피싱 지킴이 체험관’을 금융감독원 포털사이트에서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국민들은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서만 피싱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한계가 있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사기범 정보를 통신사, 은행과 공유했습니다. SKT가 T전화 앱에서 발신자 정보에 ‘보이스피싱 의심번호’로 표시하게 되었고, 우리은행은 피싱으로 의심되는 예금 인출 요청 고객을 즉시 신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건강음료 배달원이 혼자 사시는 어르신의 안부를 매일 아침 확인합니다.
 요구르트 배달원이 매일 아침 요구르트를 배달하면서, 그날의 어르신 안부와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 이상이 염려되는 경우에는 담당 사회복지사에게 연락해 줄 수 있도록 경기도 광주시가 ‘사랑의 요구르트 배달’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본 정보의 사실 여부를 보증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주최사 홈페이지의 공모요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목록